안녕하세요, 다양한 게임 공략 및 다양한 꿀팁을 알려드리는 나르봇입니다.
이번에 알려드릴 내용은 인터넷이 느릴 때 해결방법과 꿀팁에 대한 내용입니다.
왜 인터넷이 느려졌는지 처음부터 느렸는지 어느 순간 느려진 건지 알 수 없기에
한 가지가 아닌 여러 가지 이유에 대한 해결방법을 알려드리려 합니다.
하나씩 시도해 보면서 왜 느려졌는지 혹은 느린지에 대한 해결책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Step.1 통신사를 통해 내가 사용하는 인터넷을 확인하기
간혹 사람들이 인터넷을 가입하거나 혹은 인터넷이 가입되어 있는 장소로 이사를 하거나 하였을 때
어떤 인터넷이 설치되어 있는지 혹은 어떤 인터넷으로 신청하였는지 잘 모르고 사용할 때가 있습니다.
그래서 첫 번째로 알아야 할 것은 통신사에 전화하여 지금 내가 머물고 있는 집/회사에 설치되어 있는
인터넷이 어떤 종류인지 파악해야 합니다.
통신사 | 전화번호 |
SK 브로드밴드 | 106 |
KT 유선 | 100 |
LG U+ 유선 | 101 |
현재 사용하고 있는 통신사를 확인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는 공유기를 확인 후
그에 맞는 통신사에 전화를 걸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인터넷이 어떤 종류인지 파악해야 합니다.
1. 100MB
2. 500MB
3. 1GB
4. 10GB
기본적으로 4가지 종류의 인터넷이 있으며 각 지역마다 혹은 아파트마다
설치되어 있는 인터넷망이 있습니다.
제가 살고 있는 아파트의 경우 500MB의 인터넷망이 설치되어 있어
그 1GB 인터넷을 설치하여도 최대 500MB의 속도만 낼 수 있게 되는 겁니다.
불친절한 상담사와 상담을 하게 되면 정확한 설명 없이 독박을 쓰게 되는 경우도 있으니
꼭 숙지하여 피해보는일 없게 설치하시길 바랍니다.
Step.2 내가 사용하는 공유기 or 인터넷선이 인터넷 속도에 맞는지 확인하기
첫 번째로 나의 인터넷이 어떤 속도로 설치가 되어있는지 확인하였다면 두 번째로 확인해야 할 것은
내가 지금 사용하는 공유기 혹은 인터넷선[랜선]이 나의 인터넷 속도를 견딜 수 있는 제품인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우선 첫 번째로 인터선[랜선]을 주의 깊게 살펴보면 선에 조그마한 글씨로 CAT.5e라거나
CAT.5 혹은 CAT.6 이런 식으로 쓰여있는 걸 확인할 수 있는데 이렇게 쓰여있는 영어는 랜선의 종류를 뜻하며
종류마다 인터넷 전송속도가 정해져 있습니다.
종류 | 전송속도 | 용도 |
CAT.5 | 100Mbps | 가정/사무용 |
CAT.5e | 1Gbps | 가정/사무용 |
CAT.6 | 1Gbps | 가정/사무용/기업/서버 |
CAT.6a | 10Gpbs | 가정/사무용/기업/서버 |
CAT.7 | 10Gpbs | 기업/서버 |
이렇게 총 5가지 종류의 인터넷선[랜선]이 있으며 각 종류마다 전송속도가 다른 걸 볼 수 있는데
지금 내가 사용하는 인터넷이 1GB이면 CAT.5e나 CAT.6을 사용하면 되고
10GB 이상의 비싼 요금의 인터넷을 사용한다면 CAT.6a나 CAT.7의 인터넷선[랜선]을 사용하면 됩니다.
하지만 주의해야 할 것은 인터넷 속도와 케이블만 바꾸고 확인했다고 인터넷 속도가
전혀 변하지 않을 수 있는데 추가로 확인해야 할 것은 공유기입니다.

이 사진은 아이피타임의 공유기중 한 가지의 스펙을 가지고 온 것인데
네 번째 칸을 보면 LAN interface라고 써져 있는 게 보일 겁니다.
보면 4x 10/100/1000 Mbps PC Port - 케이블 자동 감지라고 써져 있는데
이 말의 뜻은 10Mbps 부터 1Gbps까지 지원을 한다는 뜻입니다.
한 마디로 내가 10GB의 인터넷을 사용한다면 이 공유기로는
1GB까지의 속도만 낼 수 있다는 뜻이 되는 겁니다.
그래서 주의해야 할 것은 공유기를 구매할 때 항상 박스 뒷면에
주요 스펙을 확인하고 내가 사용하는 인터넷의 속도까지 호환을 하는지
꼼꼼하게 체크한 뒤 구매를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Step.3 내가 사용하는 컴퓨터의 랜카드가 기가비트[Gbps]를 지원하는지
이제 마지막으로 확인해야 할 것은 내 컴퓨터에 장착되어 있는 메인보드의 랜카드가
기가비트[Gbps]를 지원하는지에 대한 걸 확인해 주시면 되는데
컴퓨터에 대해 잘 모르시는 분들에게는 조금 어려울 수 있지만
조금만 관심을 가지면 쉽게 알 수 있는 부분입니다.
우선 내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메인보드가 무엇인지 확인을 해야 하는데
윈도우10 기준으로 왼쪽 아래 윈도우버튼 오른쪽에 보면 돋보기가 있는데
거기에 msinfo를 검색하여 시스템 정보를 클릭하여 열어주시면 됩니다.
열게 되면 아래 사진과 같은 프로그램이 켜지게 되는데 파란색으로 칠해져 있는 게
지금 내가 사용하는 메인보드의 모델명이 되겠습니다.

이제 내가 사용하는 메인보드가 무엇인지 알았다면 네이버나
구글에 내가 사용하는 메인보드의 모델명을 검색 후
랜카드가 어떤 인터넷을 지원하는지 확인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이와 같은 메인보드 경우에 랜/오디오 란에 최대 기가비트라고 적혀있는데
이런 제품 같은 경우가 1Gbps를 지원하는 제품으로
내가 사용하는 인터넷이 기가인터넷이라면 기가비트를 지원하는
메인보드를 사용해야지만 내 인터넷 속도도 1Gbps 가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이상으로 컴퓨터 인터넷 속도가 느릴 때 확인해야 할 것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인터넷이 느릴 때 할 수 있는
설정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왼쪽 하단에 구독하기 버튼
한 번씩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컴퓨터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게임할때, 인터넷할때 렉 최소화 방법 (0) | 2023.04.12 |
---|---|
[컴퓨터] 윈도우10/ Window10 포맷보다 쉬운 PC초기화 (0) | 2023.04.11 |
[컴퓨터] PC인터넷 속도가 느릴 때 해결방법 꿀팁#2 (0) | 2023.04.02 |
[컴퓨터] 윈도우10 컴퓨터 예약종료 / 원클릭종료버튼 설정하기 (0) | 2023.03.22 |
[컴퓨터] 윈도우10 컴퓨터 빠르게 종료 / 슬라이드로 종료 실행하기 (0) | 2023.03.22 |
댓글